## 서론
에피쿠로스(Epicurus, 341-270 BCE)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그의 이름은 에피쿠로스 학파 또는 에피쿠리즘(Epicureanism)과 연결되어 있다. 이 학파는 쾌락을 최고의 목표로 삼되, 그 쾌락을 추구하는 방법은 이성적이고 절제된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 쾌락의 이해
에피쿠로스는 쾌락과 고통이 인생의 근본적인 가치 판단의 기준이라고 봤다. 그러나 그는 단순한 육체적 쾌락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지적이고 정신적인 쾌락도 중요하게 생각했다.
## 이성과 절제
에피쿠로스는 이성을 쾌락의 추구에 있어 중요한 도구로 여겼다. 그의 관점에서, 이성적인 판단은 우리가 어떤 쾌락이 장기적으로 유익한지, 또는 어떤 고통을 피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 사회와 우정
에피쿠로스는 사회와 인간 관계, 특히 우정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그는 우정이 정신적 쾌락을 제공하고, 인생의 어려움을 함께 견디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다.
## 신과 무신론
에피쿠로스는 신이 인간의 삶에 개입하지 않는다고 믿었다. 그래서 그는 무신론자라기보다는 신에 대한 무관심을 주장했다. 이러한 관점은 그의 유명한 '신과 악의 문제'에 대한 답변에서도 나타난다.
## 후예에 미친 영향
에피쿠로스의 사상은 로마 철학자 루크레티우스(Lucretius)에 의해 널리 퍼졌고, 르네상스와 계몽주의 시대에 재평가되었다. 현대에 와서도 그의 쾌락주의와 이성적 절제는 여러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다.
## 결론
에피쿠로스 학파는 쾌락을 인생의 최종 목표로 삼되, 그것을 이성적으로 절제하고 분별력 있게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접근법은 인간의 복잡한 존재와 욕구, 그리고 이성과 감정 사이의 균형을 찾고자 하는 현대인에게도 많은 교훈을 준다.
'철학과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화론을 반대하는 학자들의 주장들 모음 (0) | 2023.08.29 |
---|---|
조로아스터교의 기원 알기쉽게 정리 (0) | 2023.08.29 |
18세기 유럽의 경험론과 합리론의 싸움을 정리했던 거두 임마누엘 칸트 (0) | 2023.08.29 |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완벽 정리 (0) | 2023.08.28 |
영화 인셉션과 플라톤의 동굴 _ 현실은 어디에? (0) | 2023.08.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