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리주의는 가장 많은 수의 사람들에게 가장 큰 행복을 가져다주는 것이 올바른 행위라고 주장하는 윤리학의 한 분야입니다. 이 원칙은 초기 공리주의자인 벤텀과 밀에 의해 상세하게 발전되었습니다. 그러나 공리주의에는 다양한 비판적 관점이 있으며, 이러한 비판을 통해 그 한계와 취약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개인의 권리 무시: 공리주의의 기본 원칙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원칙에 따르면 소수의 이익이나 권리가 다수의 이익을 위해 희생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의 불이익이 10명의 사람들에게 이익을 가져다줄 때, 공리주의는 그 한 사람의 불이익을 정당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기본적인 권리와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행복의 정의: 공리주의는 '행복'이라는 개념을 핵심적으로 다룹니다. 그러나 행복의 정의는 사람마다, 문화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어떤 행동이나 선택이 특정 커뮤니티에서는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지만 다른 커뮤니티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공리주의가 제공하는 일반화된 '행복'의 기준은 모든 사람이나 문화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실용적 어려움: 모든 상황에서 어떤 행동이 최대의 행복을 가져다줄지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실제로 결정을 내리기 전에 모든 가능한 결과와 그 영향을 고려하는 것은 실용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질적 차이의 무시: 밀은 공리주의 내에서 행복의 '질'에 대한 차이를 인정했지만, 이것은 여전히 주관적인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문학 작품을 읽는 것과 간단한 물리적 쾌락 사이에서 어떤 것이 더 '높은' 행복을 제공하는지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 도덕적 직관과의 충돌: 때로는 공리주의의 원칙이 우리의 도덕적 직관과 충돌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무고한 사람 한 명을 희생하여 많은 사람들을 구하는 것이 공리주의의 원칙에 따라 옳다고 볼 수 있지만, 이러한 행위는 많은 사람들의 도덕적 직관과 부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공리주의는 많은 유용한 관점과 원칙을 제공하며 많은 도덕적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합니다. 그러나 그것이 우리의 모든 윤리적 판단을 안내하기에 충분하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이러한 비판적 관점들은 공리주의의 복잡성과 한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반응형
'철학과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르네 데카르트: 코기토, 의심의 방법과 이성의 힘 (0) | 2023.09.02 |
---|---|
조던 피터슨 비판: 대중적 명성의 그늘, 개인주의와 사회적 책임 (0) | 2023.09.02 |
역사학자 레전드 top 10 알려 드립니다 (0) | 2023.08.29 |
정신분석학자 중 가장 유명한 top 10 알려드립니다! (0) | 2023.08.29 |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했던 물리학자 TOP10 (0) | 2023.08.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