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과 인문학
웨슬리 신학과 칼뱅 신학의 결정적 차이 3가지
환희의찬가
2024. 2. 28. 01:11
반응형
요즘 웨슬리 신학을 빗대어 잘못된 신학관, 성경관, 구원관을 설파하는 목사, 전도사들이 있습니다.
다음은 웨슬리 신학과 칼뱅 신학의 결정적 차이 3가지입니다.
- 웨슬리 신학에서 한번 받은 구원이 영원한 것인지, 아니면 취소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웨슬리 신학은 일반적으로 "한번 구원됐다면 항상 구원된다"는 개념, 즉 불가퇴적 구원을 부정합니다. 즉, 구원을 받은 사람이라도 믿음을 버리고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질 경우 구원 상태를 잃을 수 있다고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웨슬리가 강조한 성화 과정, 즉 그리스도인의 생애 전반에 걸친 성령의 작업을 통한 영적 성장과 거룩함을 향한 노력을 강조하는 점과 관련이 있습니다.
- 웨슬리 신학에서 구원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로운 선물이라고 봅니다. 웨슬리는 구원이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은혜에 의한 것임을 강조했으나, 동시에 인간의 자유 의지를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즉, 인간은 하나님의 은혜를 받아들이거나 거부할 수 있는 자유 의지를 가지고 있으며, 이 의지를 통해 구원의 은혜에 응답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웨슬리 신학은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자유 의지 사이의 균형을 중시합니다.
- 웨슬리 신학과 칼뱅주의의 가장 큰 차이점은 구원론과 예정론에 관한 해석에서 발견됩니다. 칼뱅주의는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불변의 예정을 강조하며, 특정한 사람들이 구원받도록 사전에 예정되었다고 가르칩니다. 이에 반해 웨슬리 신학은 하나님의 구원 은혜가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으며, 각 개인이 이 은혜를 자유 의지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가르칩니다. 또한 웨슬리 신학은 성화와 거룩함을 향한 그리스도인의 적극적인 노력을 강조하는 반면, 칼뱅주의는 하나님의 예정과 주권에 더 큰 강조를 둡니다.
이러한 차이점들은 각 신학 체계가 성경 해석, 교회 생활, 그리고 그리스도인의 영적 성장에 관한 교리와 실천에서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도록 이끕니다.
반응형